|
日, 1939년 하이난섬 점령 뒤 군사기지화
식민통치 저항한 수형자 등 2000명 동원 혹독한 노역 못 이겨 해방까지 절반 사망 살아남은 조선인도 학대·굶주림에 시달려 항복한 日, 무기 뺏기자 칼·곡괭이로 학살 1995년에야 알려져… 中부지 보전 불투명1929년 미국에서 시작된 경제공황이 전 세계로 퍼지면서 1차 세계대전(1914~1918) 승전국인 미국과 영국, 일본이 그간 협력하던 자세를 버리고 각자도생에 나섰다. 다른 제국주의 국가들보다 내수시장 규모가 작았던 일본은 경제 위기를 탈출하고자 1931년 중국 만주와 1932년 상하이를 차례로 침공했다. 이 지역 이권을 선점한 미국과 영국이 철군을 요구했지만 일본은 1933년 국제연맹을 탈퇴한 뒤 되레 중일전쟁(1937)과 태평양전쟁(1941)을 감행해 전선을 넓혔다. 이 과정에서 난징 대학살(1937)과 하이난섬 대학살(1939~1945) 등 민간인 학살을 서슴지 않고 자행했다. 이때 벌어진 하이난섬 대학살은 우리에게도 ‘천인갱’(天人坑·1000명이 묻힌 구덩이) 사건의 아픔을 남겼다.●조선인 1000명 묻힌 구덩이 ‘천인갱’의 아픔 11일 학계에 따르면 일본은 1937년 중일전쟁을 일으킨 뒤 전선이 고착화돼 어려움이 커졌다. 당시 중국군은 영국령 버마와 프랑스령 인도차이나 국가들로부터 다양한 군수물자를 받았다. 영국·프랑스 등과 불편한 관계였던 일본은 중국군의 해외 보급로를 차단하고 동남아시아 지역에 군사 거점을 확보하고자 중국 최남단 하이난섬을 접수하기로 마음먹었다. 1939년 일본군이 하이난섬 기습 상륙작전에 나서 불과 일주일 만에 섬을 점령했다. 섬에 있던 중국 공산당 게릴라가 저항하자 본격적인 토벌작전에 나섰다. 이 섬 주민 수십만 명이 일제에 희생됐다는 추정이 나온다. 일본군은 하이난섬을 군사기지로 만들고자 원주민과 전쟁포로, 중국 본토인을 동원했다. 특히 1942년 미국과 치른 미드웨이 해전에서 대패해 전세가 기울자 일본 오키나와와 조선의 제주도, 중국 하이난섬 등에 요새를 구축해 버티기에 들어갔다. 이를 위해서는 엄청난 노동력이 필요했는데 이미 상당수가 징병·징용으로 끌려가 새로 투입할 인력을 찾기가 쉽지 않았다. 그러자 한반도 전역에 수감된 죄수들 가운데 노역을 감당할 만한 이들을 ‘남방파견보국대’(南方派遣報國隊·조선보국대)에 지원하게 했다. 일제는 “6개월만 참여해도 잔여 형기를 모두 면제해 주겠다”고 제안했다. 이때 차출된 이들은 상당수가 일본의 식민지 통치에 저항한 이른바 불령선인(不逞鮮人·일제강점기 조선총독부에 항거·저항한 조선인을 일제가 부정적으로 지칭한 말)이었다. 이렇게 1943년부터 조선 전체 수형자의 10% 정도인 2000여명이 노무자로 보내졌다. 생존자와 현지 주민들은 “일본군이 강제노동에 지쳐 도망가거나 큰 병에 걸려 사경을 헤매던 조선인을 가차 없이 죽였다”고 전한다. 1945년 해방 때까지 조선보국대의 절반 남짓한 1000여명이 노역을 못 이기고 사망했다. 징용 조선인들이 얼마나 혹독한 환경에 놓여 있었는지 짐작하게 하는 대목이다. 살아남은 하이난 조선인들은 일제의 패망으로 광복을 맞았다. 하지만 이들도 대부분 고국으로 돌아가지 못하고 일본군의 학대와 굶주림, 전염병으로 숨을 거뒀다. 일본군이 하이난섬을 떠나기에 앞서 조선인을 대거 학살했다는 주장이 제기된다. 당시 일본군은 항복과 동시에 무기 사용이 금지됐다. 총을 사용하면 국제법상 문제가 될 수 있었다. 이 때문에 칼과 곡괭이, 몽둥이로 도륙한 뒤 시신을 집단 매장했다는 것이다. 중국인들은 이곳을 천인갱으로 불렀다. 본국 귀환 기록이 없는 강제 징용자 1200여명이 묻혀 있을 가능성이 매우 높다.●李총리, 3월 방문때 조화…“하루빨리 고국으로” 우리는 이 사실을 까맣게 잊고 지냈다. 그러다가 1995년 중국 하이난성 정부가 일제 피해자 구술집을 발간하면서 비로소 천인갱의 실체가 세상에 드러났다. 1990년대까지만 해도 천인갱에 대한 지역 주민들의 반응은 우호적이었다. 그러나 최근 부동산 개발 열풍이 불어오면서 이들의 시선도 달라졌다고 한다. 주변에 고속도로와 고속철도 역 등이 생기면서 앞으로 천인갱 부지가 어떻게 될지 장담하기 어렵게 됐다. 앞서 이낙연 총리는 지난 3월 하이난섬에서 열린 보아오포럼 참석 때 정운현 총리비서실장을 통해 천인갱에 본인 명의의 조화를 보냈다. 추모관을 둘러본 정 실장은 “나라 잃은 백성의 참혹한 현장을 보고서 국가의 의무를 생각한다. 하루빨리 고국으로 모실 수 있길 기대한다”고 방명록을 남겼다. |
2025.11.20 (목)
속초11.8℃
북춘천6.0℃
철원9.1℃
동두천11.3℃
파주11.9℃
대관령4.8℃
춘천6.7℃
백령도10.2℃
북강릉13.8℃
강릉13.3℃
동해14.2℃
서울12.2℃
인천12.0℃
원주6.9℃
울릉도13.7℃
수원12.6℃
영월5.1℃
충주9.8℃
서산13.4℃
울진15.0℃
청주12.6℃
대전14.2℃
추풍령10.6℃
안동10.8℃
상주12.3℃
포항13.7℃
군산12.9℃
대구12.5℃
전주13.6℃
울산13.4℃
창원13.5℃
광주10.0℃
부산13.4℃
통영14.5℃
목포11.6℃
여수13.1℃
흑산도14.6℃
완도13.1℃
고창12.1℃
순천13.0℃
홍성13.5℃
서청주11.5℃
제주14.4℃
고산13.2℃
성산14.0℃
서귀포16.6℃
진주12.2℃
강화12.4℃
양평7.2℃
이천8.0℃
인제8.1℃
홍천8.1℃
태백6.3℃
정선군7.2℃
제천5.4℃
보은11.6℃
천안11.7℃
보령15.2℃
부여13.3℃
금산12.4℃
세종13.2℃
부안15.5℃
임실11.1℃
정읍13.5℃
남원9.6℃
장수10.1℃
고창군12.1℃
영광군13.1℃
김해시13.3℃
순창군11.4℃
북창원14.0℃
양산시13.9℃
보성군14.0℃
강진군12.0℃
장흥13.7℃
해남13.2℃
고흥13.6℃
의령군11.6℃
함양군12.4℃
광양시14.4℃
진도군11.8℃
봉화9.8℃
영주10.1℃
문경12.3℃
청송군10.5℃
영덕12.0℃
의성12.0℃
구미15.1℃
영천12.6℃
경주시13.2℃
거창13.5℃
합천14.2℃
밀양12.9℃
산청14.0℃
거제13.0℃
남해13.8℃
북부산13.4℃




















































































